맨위로가기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는 버지니아 셰넌도어 강 근처를 배경으로, 전 세계적 재앙 이후 고립된 공동체를 그린 소설이다. 이 소설은 클론 기술에 의존하는 특권층 생존자들의 이야기로, 클론들의 개성 추구와 사회 적응 문제를 다룬다. 클론들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겪고, 개성을 되찾은 몰리는 추방되며, 그녀의 아들 마크는 새로운 공동체를 건설한다. 소설은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양극화를 반영하며, 지구 온난화 종말에 대한 언급도 포함한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데이비드, 셀리아, 몰리, 벤, 배리, 마크 등이 있으며, 클론 기술과 윤리적 문제, 개성의 중요성을 탐구한다. 이 소설은 1977년 휴고상, 로커스상, 주피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소설 - 불모지대
    불모지대는 야마자키 도요코의 소설로, 만주 침공 당시 시베리아 억류 생활을 한 육군사관학교 수석 졸업 엘리트 중좌 이키 타다시가 종전 후 킨키 상사에 입사하여 겪는 파란만장한 삶을 그리며 기업 윤리와 사회적 책임, 개인의 야망과 좌절, 국제 관계와 국가 이익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 1976년 소설 - 당신들의 천국
    당신들의 천국은 소록도를 배경으로 한 소설로, 소록도 병원 원장 조백헌을 중심으로 한 주요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천국에 대한 의미를 탐구한다.
  • 복제를 소재로 한 소설 - 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의 디스토피아 소설 《멋진 신세계》는 과학 기술이 발달했지만 개성과 자유가 억압된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인공 자궁에서 태어나 세뇌 교육을 통해 사회 계급에 맞춰 길러지고 소마라는 약물로 불만을 해소하는 인간들의 모습을 통해 사회 모순과 인간 소외를 비판적으로 그린다.
  • 복제를 소재로 한 소설 - 클라우드 아틀라스 (소설)
    데이비드 미첼의 소설 클라우드 아틀라스는 19세기부터 미래까지 각기 다른 시대와 장소의 인물들의 삶을 여섯 개의 중첩된 이야기 구조로 옴니버스 형식으로 그리며, 환생, 인간 본성, 탐욕, 억압 등의 주제를 탐구하는 작품으로 영화화되기도 했다.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 [서적]에 관한 문서
도서 정보
제목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원제Where Late the Sweet Birds Sang
저자케이트 윌헬름
국가미국
언어영어
장르과학 소설, 디스토피아
출판사Harper & Row
출판일1976년
페이지 수207쪽 (hardback)
수상로커스상 최우수 장편 소설 (1977년)
ISBN0-06-014654-0

2. 배경

소설의 배경은 전 세계적인 환경 재앙과 질병으로 인해 문명이 붕괴하고 인류가 불임 상태에 이른 암울한 미래이다. 소설은 버지니아의 셰난도어 강 근처를 배경으로 하며, 종말 이후의 시대를 빠르게 설정한다.[1] 전 세계 문명의 붕괴는 대규모 환경 변화와 세계적인 질병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이는 대규모 오염의 결과로 여겨졌다.[3]

이러한 설정은 대한민국에서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대기오염, 기후변화 등의 환경 문제와 연결되어 현실적인 느낌을 준다. 소설은 인간의 오염 감소로 인한 지구 온난화의 종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 겨울은 점점 더 추워지고 일찍 시작되어 오래 지속되었으며, 어린 시절 기억보다 더 많은 눈이 내렸다. 인간이 매일 대기 중에 수 메가톤의 쓰레기를 더하는 것을 멈추자마자, 그는 대기가 오래 전에 그랬음에 틀림없는 상태로 되돌아갔다고 생각했다. 여름과 겨울이 더 습한 날씨, 그가 전에 본 적이 없는 것보다 더 많은 별, 그리고 매일 밤 전날 밤보다 더 많은 별이 있는 것 같았다. 낮에는 맑고 끝없는 파란 하늘, 밤에는 현대인이 본 적이 없는 불타는 별들이 있는 벨벳 같은 파란색-검은색 하늘.

근미래의 지구에서는 핵 오염을 비롯한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지구상의 생물이 멸망해 가고 있었다. 인류는 점차 생식 능력을 잃어 아이를 갖기 어려워졌다. "계곡"이라고 불리는 풍요로운 계곡에 사는 한 부족은 재력을 투자하여 클론 연구소를 건설한다. 가축에서 시작된 클론 기술은 인간에게도 응용되어 비밀리에 클론 인간이 탄생했다. 그러나 클론 인간도 클론을 거듭함에 따라 생식 능력이 저하된다는 것이 밝혀진다. 문명을 유지하기 위해 클론 인간들은 모든 자손을 클론으로 얻기로 했다. 같은 유전자에서 태어난 클론 인간은 자의식이 없고, 클론 형제자매들과 떨어져 있어도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을 공유했다.

2. 1. 셰넌도어 계곡 공동체

버지니아 셰넌도어 강 근처에 고립된 공동체가 형성되었다.[1] 이들은 교육과 재정적 자원을 가진 특권층으로, 전 세계적인 재앙에서 살아남기 위해 모였다. 생존자들은 인류가 보편적으로 불임 상태임을 발견하고,[3] 생존을 위해 클론 기술에 의존하기 시작한다. 이들은 클론 형성을 통해 불임이 해결될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성인이 된 클론들은 성적 생식 대신 클론 형성을 선호했고, 원래 집단의 생존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적응해야 했다. 새로운 세대의 클론들은 4~10명씩 그룹을 이루어 서로 강한 정서적, 정신적 연결을 공유했다.[4]

3. 등장인물

이 소설의 주요 등장인물은 복제인간 기술 발전에 따라 복제인간과 자연 출생한 인간들로 구성된다. 데이비드와 셀리아는 복제인간 생산에 기여한 과학자들이며, 몰리는 자아를 찾아 은둔 생활을 하는 복제인간이다. 벤과 배리는 복제인간 형제들로,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마크는 벤과 몰리 사이에서 자연 출생한 아이로, 공동체 내에서 고립된 존재이다.

3. 1. 데이비드

데이비드는 매우 진지하고 헌신적인 과학자이자 생존한 인간 식민지 구성원의 가족으로, 1세대 복제인간 생성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사촌 셀리아와 사랑하는 사이이며, 자신의 유전자를 제공하여 복제인간 무리를 만들었다. 복제 기술 연구자인 데이비드는 자신의 연구 성과에 끔찍함을 느껴 시설을 파괴하려 했지만, 감지되어 "계곡" 밖으로 추방된다.[3]

3. 2. 셀리아

셀리아는 데이비드의 사촌이자 연인으로, 공동체의 생존을 위해 헌신하는 인물이다. 세계적인 재앙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돕고, 어려움을 겪는 국가에서 지속 가능한 농업 방식의 개발을 지원하고자 하는 열정을 가지고 있다.[1] 데이비드와 마찬가지로 클론 생산을 위한 유전자 기증자이다.[1]

3. 3. 몰리

몰리는 '미리암 자매'라고 불리는 6명의 클론 그룹 중 한 명이다. 몰리는 탐험 여행 중에 자아와 예술에 눈을 뜨고 은둔 생활을 선택한다. 이러한 몰리의 변화는 클론 자매들과 공유되었고, 자매들에게 고통을 유발했다. 결국 몰리는 마약에 중독되어 원치 않는 "번식원"이 된다.[1]

3. 4. 벤

과학자이자 리더인 그는 네 명의 형제들과 함께 최초의 복제인간 중 한 명이다. 그는 첫 번째 탐험대의 선원이며 형제들과의 분리에서 오는 심리적 외상을 겪는다. 그는 몰리와 짧은 관계를 맺었으며 마크의 생물학적 아버지이다.[1]

3. 5. 배리

벤의 형제 중 한 명이면서 과학자인 배리는 신중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배리는 몰리와 벤, 그리고 첫 번째 원정에서 변화된 다른 사람들의 발달된 개성을 못마땅하게 여긴다. 배리는 변화된 복제인간들이 공동체에 위험하다고 믿고 있으며, 몰리와 벤이 추방된 후 마을에서 지도자적 위치를 차지한다.[1]

3. 6. 마크

마크는 벤과 몰리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로, 식민지 내에서 최초로 자연 출생한 아이이다. 마크는 클론들과 달리 개성을 지녀 공동체 내에서 고립된 채 성장한다. 어머니와 떨어져 지내며 매우 활발하고, 배리와 다른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말썽을 일으킨다.[1]

마크는 클론이 아닌 유성 생식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클론 형제들과 감각을 공유할 수 없어 혼자 지낸다. 이 때문에 항상 클론 집단에 문제를 일으켜 미움을 받는다. 세대를 거듭한 클론들은 상상력이 결여되고 적응 능력도 상실하여, 사회 집단을 유지하기 위해 마크는 제거될 운명에 놓인다.[3] 결국 마크는 탈출 계획을 세우고 마을 밖에서 새로운 공동체를 찾아 떠난다.[1]

4. 클론 기술과 윤리적 문제

클론 기술은 인류 생존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지만, 여러 윤리적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클론들은 개성을 상실하고 자율성이 부족했으며, 이는 인간 존엄성 훼손 문제로 이어졌다.[4]

원래 집단의 생존자들은 성년에 이른 클론들이 성적 생식 대신 클론 형성을 선호하는 것을 보고 경악했다. 이들은 너무 늙고 클론 수에 압도당해 새로운 사회 질서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몇몇 클론들은 그룹의 다른 구성원들과 오랫동안 떨어져 있으면 돌이킬 수 없는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몰리라는 한 여성은 인근 도시의 폐허에서 자재를 찾다가 클론들과 떨어져 '인간적인' 개성을 되찾았는데, 동료 클론들은 이를 공동체에 위험하다고 여겨 추방했다.

몰리는 평화롭게 혼자 살도록 허용되었지만, 물품을 가져다주는 구성원을 제외한 다른 클론들과의 접촉은 허용되지 않았다. 몰리는 비밀리에 주변 도시로 함께 갔던 클론 벤과 아이를 가졌다. 몇 년 후 이 비밀이 밝혀지자 몰리와 벤은 공동체에서 추방되었지만, 아이 마크는 머물도록 허용되었다.

4. 1. 클론 사회의 특징

클론들은 강한 정서적, 정신적 연결을 통해 서로에게 공감하며, 집단 정체성을 형성한다. 같은 유전자에서 태어난 클론 인간은 자의식이 없고, 클론 형제자매들과 떨어져 있어도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을 공유했다. 반대로 형제자매와 연결되지 않고 혼자 있으면 불안감을 느끼게 되었다. 전체를 위해 헌신한다는 사상이 당연하게 여겨졌고, 전체를 위해 헌신할 수 없는 인간은 이상자로 배제되었다. 새로운 종교도 탄생했다. "추도식"은 그 인간이 사회적으로 존재하지 않게 됨을 의미하며, 추도식이 끝나면 다른 형제는 그 형제와 감각을 공유할 수 없다는 슬픔조차 잊을 수 있었다.[1]

클론 사회는 유전자의 특성에 따라 "기술자", "탄광부", "농민" 등을 만들어 냈다. 태어나면서부터 재능과 직업이 정해져 있는 것이 행복하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돌연변이로 "개성"을 가진 인간도 태어났다. "개성"이 있는 인간에게 클론 사회는 자유가 없는 계급 사회이며, 노예제 사회였다. 생식 능력이 있는 여성은 클론을 낳기 위해 "번식원"에서 출산의 역할에 전념하는 인생을 살게 되었다.[1]

4. 2. 개성의 중요성

마크는 클론이 아닌, 유성 생식으로 태어난 아이다. 클론 형제들이 없어 감각을 공유할 수도 없고, 혼자 지낼 수 있다. 따라서 마크는 항상 클론 집단에 문제를 일으키므로 미움을 받는다. 세대를 거듭한 클론들은 상상력이 결여되고 적응 능력도 상실하여, 사회 집단을 유지하기 위해 마크는 제거될 운명에 놓인다.

5. 소설의 결말과 교훈

마크는 비옥한 여성과 아이들을 이끌고 클론 공동체를 떠나 새로운 시작을 한다. 20년 후, 마크는 적응에 실패하여 멸망한 클론 공동체를 발견한다. 소설은 인간의 오염 감소로 인한 지구 온난화의 종말을 언급하며,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1]

5. 1. 한국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는 환경 파괴와 저출산 문제로 위기에 직면한 한국 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작품이다.[1][3] 소설은 기술 발전의 윤리적 문제, 개성과 다양성의 중요성, 그리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성찰을 요구한다.

소설에서 묘사된 클론 기술의 발전과 그로 인한 사회 변화는 한국 사회의 현실과 맞닿아 있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낮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소설 속 클론들은 생식 능력을 잃고, 결국 자연적인 번식을 통해 태어난 마크에게 미래를 맡기게 된다. 이는 저출산 문제 해결의 시급성과 더불어, 개개인의 존엄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소설은 환경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소설 속에서 전 세계 문명의 붕괴는 대규모 환경 변화와 질병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이는 대규모 오염의 결과로 여겨졌다.[1] 소설은 인간의 오염 감소로 인한 지구 온난화의 종말에 대해 언급한다.

Where Late the Sweet Birds Sang영어는 환경 파괴와 저출산으로 위기에 직면한 한국 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작품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6. 수상


  • 1977년 휴고상 장편 소설 부문
  • 1977년 로커스상 장편 소설 부문
  • 1977년 주피터상
  • 1977년 존 W. 캠벨 기념상 3위
  • 1977년 네뷸러상 장편 소설 부문 후보

참조

[1] 웹사이트 Themes : Post-Holocaust : SFE : Science Fiction Encyclopedia http://www.sf-encycl[...] 2015-11-16
[2] 웹사이트 Culture : Orbit : SFE : Science Fiction Encyclopedia http://www.sf-encycl[...] 2015-11-10
[3] 웹사이트 Authors : Wilhelm, Kate : SFE : Science Fiction Encyclopedia http://www.sf-encycl[...] 2015-11-16
[4] 웹사이트 Themes : Clones : SFE : Science Fiction Encyclopedia http://www.sf-encycl[...] 2015-11-16
[5] 웹사이트 This carried over into the early seventies but then there was a major hiccup with, Where Late the Sweet Birds Sang by Kate Wilhelm...won for best novel. https://arkhavencomi[...]
[6] 웹사이트 Culture : Hugo : SFE : Science Fiction Encyclopedia http://www.sf-encycl[...] 2015-11-16
[7] 웹사이트 Culture : Locus Award : SFE : Science Fiction Encyclopedia http://www.sf-encycl[...] 2015-11-16
[8] 웹사이트 sfadb : Kate Wilhelm Awards http://www.sfadb.com[...] 2015-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